NEWS

    NEWS

    [시론] ‘포스트 코로나‘ K뮤지컬을 위한 고언/ 신춘수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장
    • 작성일2021/11/24 18:00
    • 조회 921
    신춘수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장

    ▲ 신춘수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장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일상을 뒤흔들었다. 전쟁 중에도, 어떠한 역경에도 계속되던 공연계도 예외는 아니었다. 코로나19는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 같은 뮤지컬 본고장까지 멈춰 세웠다. 전 세계 뮤지컬산업 전체가 붕괴되면서 뮤지컬 종사자들은 생활고에 시달렸다. 우리나라도 역시 피할 수 없는 문제였다. 매주 바뀌는 방역 지침은 공연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기준이 일정치 않았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한국 뮤지컬계는 배우, 스태프 등 다양한 종사자들의 협의를 거쳐 공연을 이어 왔고, 다양한 학습 과정을 거치며 현재는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 시기를 맞이해 조금은 숨통이 트인 상태다.

    코로나19는 한국 뮤지컬 프로듀서들이 뮤지컬 생태계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계기가 됐다. 빠른 속도로 뮤지컬 시장은 커졌지만 합리적인 제작 방식이 부재하고 표준계약서도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로 불안전하게 많은 작품이 제작되는 현실을 직시하게 된 것이다. 뮤지컬을 연극 장르에 포함시킨 정부 정책의 한계를 느꼈고 뮤지컬도 하나의 문화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인식이 모아졌다.

    국내 뮤지컬 시장은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을 계기로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4년 이후로는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학습된 관객들이 끊임없이 증가했고, 2018년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맞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장르가 됐다. 그러나 그 화려한 성장 이면에 잔재하던 불안정성은 어느 누구도 깊게 살펴보지 않았다.

    국내 뮤지컬 시장의 급속 성장은 동시에 기형적이었다. 비교적 낮은 진입장벽으로 검증되지 않은 컴퍼니가 대거 등장하면서 제작 환경의 불안정성은 가중됐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늘 위기감을 느끼게 했고 정부 정책 지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또한 콘텐츠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투자가 선행돼야 하지만 지금까지는 불안정한 투자로 시장이 유지됐다. 제도적 합의 없이 제작이 이루어지면서 사회문제로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발생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한국 뮤지컬 시장은 세 가지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첫째, 창작 뮤지컬의 경쟁력을 제고해 해외시장 진출을 활성화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작품 자체의 경쟁력이다. 완성도 높은 K창작 뮤지컬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제작 환경이 절실하다. 전문적인 프로듀서들을 필두로 작가, 연출, 무대 스태프 등 제작 인력과 협업 관계를 형성해 뮤지컬이라는 장르의 질적 발전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둘째, 합리적인 제작 방식을 구축하고 한국 뮤지컬 시장을 확대한다. 뮤지컬이 콘텐츠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제작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작품들의 저작권 보호, 배우 및 스태프를 위한 표준계약서 작성 시스템의 구축 등을 통해 종사자 보호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국의 브로드웨이 리그처럼 정부와 장기적인 정책을 논의해 뮤지컬산업을 육성하고 배우, 스태프, 창작진을 아우를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프로듀서와 투자자 간 신뢰와 비즈니스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뮤지컬과 같이 리스크가 높은 산업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 특히 투자자와 제작사, 즉 프로듀서 간의 신뢰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흥행작부터 신작, 창작 작품, 해외 작품 등을 아울러 기획개발 단계에서부터 투자를 할 수 있는 한국형 투자 모델이 현재 뮤지컬 산업에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프로듀서는 도전정신으로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작품을 만들고 투자자들의 리스크 관리를 통해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불특정 다수가 다가설 수 있고, 다른 문화산업과 차별성 있는 뮤지컬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보호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

    올해 첫선을 보이는 K뮤지컬 국제마켓(24~26일 예술의전당)은 이러한 당면 과제에 대한 돌파구를 마련하고 한국 뮤지컬 시장에 새바람을 불어넣을 것이다. 창작진, 프로듀서, 그리고 투자자 간 건강한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마켓을 통해 한국 뮤지컬 시장이 보다 안정적이고 탄탄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제는 뮤지컬산업을 재조명해 한계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갖춰 해외시장에 포진해야 할 시기다. 아시아 뮤지컬 시장의 중심을 넘어 케이팝, K드라마처럼 세계 문화 콘텐츠의 중심에 K뮤지컬이 우뚝 서는 날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123031012
    2021-11-23 31면